맨위로가기

로타어 데메지에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타어 데메지에르는 동독의 정치인이자 변호사로, 1990년 동독 총리를 역임했다. 1956년 동독 기독교 민주연합에 입당하여 1989년 당 대표가 되었고, 한스 모드로프 내각에서 부수상 겸 교회 문제 담당 장관을 지냈다. 1990년 동독 총리가 되어 독일 재통일을 추진했으며, 통일 후 헬무트 콜 내각에서 무임소 특명 국무 장관을 역임했다. 그러나 슈타지 협력 의혹으로 사임하고 정계에서 은퇴한 후 변호사로 활동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데메지에르가 - 토마스 데메지에르
    기독교민주연합 소속 독일 정치인 토마스 데메지에르는 앙겔라 메르켈 정부에서 총리실장, 내무부 장관, 국방부 장관 등 주요 요직을 역임하며 독일 정치를 이끌었고, 정계 은퇴 후에는 라이프치히 대학교에서 헌법을 가르치고 도이치 텔레콤 재단 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 동독의 정부수반 - 한스 모드로
    한스 모드로는 1928년 폴란드에서 태어나 동독 공산당에서 정치 경력을 시작하여 동독 총리를 역임하고 독일 재통일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독일 연방의회 및 유럽 의회 의원을 거쳐 2023년 사망한 독일의 정치인이다.
  • 동독의 정부수반 - 호르스트 진더만
    호르스트 진더만은 동독의 정치인으로, 독일 사회주의통일당의 주요 지도자였으며, 동독 총리를 역임했고, 1989년 민주화 혁명으로 모든 직에서 물러난 후 1990년에 사망했다.
  • 동독의 외무장관 - 오스카르 피셔
    오스카르 피셔는 동독의 정치인으로, 외무부 장관을 역임하며 바티칸을 방문하고 팔레스타인 해방기구와 협력 조약을 체결하는 등 활발한 외교 활동을 펼쳤다.
  • 동독의 외무장관 - 안톤 아커만
    독일 공산주의 정치인이자 작가인 안톤 아커만은 독일 공산당에서 활동하다 나치 시대 망명 생활을 거쳐 동독에서 독일 사회주의통일당 주요 간부로 활동했지만, 소련-유고슬라비아 분열 후 숙청되었다가 복권되었다.
로타어 데메지에르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로타어 데메지에르
원어명}}
로타어 데메지에르 (2011년)
로타어 데메지에르 (2011년)
출생지튀링겐주 노르트하우젠
거주지베를린
국적독일
직업정치인
변호사
음악가
학력한스 아이슬러 음악대학 베를린
훔볼트 대학교 베를린 (통신 과정)
자녀3명
친척 (정치인)토마스 데메지에르 (사촌 동생)
서명
서명
정치 경력
소속 정당동독 기독교민주연합 (1956–1990)
독일 기독교민주연합 (1990–현재)
선거구브란덴부르크주 (인민의회; 1990)
임기 시작1990년 10월 3일
임기 종료1991년 10월 15일
이전헌법 제정
이후엘제 아커만
선거구베를린
임기 시작1990년 4월 5일
임기 종료1990년 10월 2일
이전헌법 제정
이후헌법 폐지
주요 직책
내각제3차 헬무트 콜 내각
임기 시작1990년 10월 2일
임기 종료1990년 12월 17일
대통령리하르트 폰 바이츠제커
내각로타어 데메지에르 내각
임기 시작1990년 4월 12일
임기 종료1990년 10월 2일
이전한스 모드로프
이후헬무트 콜
인민의회 의장자비네 베르크만폴
내각한스 모드로프 내각
임기 시작1989년 11월 18일
임기 종료1990년 4월 12일
이전귄터 클라이버
알프레트 노이만
이후클라우스 라이헨바흐
국가평의회 의장에곤 크렌츠
만프레트 겔라흐
기타 직책
임기 시작1989년 11월
임기 종료1990년 10월
임기 시작1975년

2. 가계

데메지에르 가문은 17세기 말 프랑스에서 프로이센으로 망명한 위그노 귀족의 후손이다.[2][1] 가문에서는 독일의 정치 및 군사 분야에서 활동한 인물들이 여럿 배출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을 참고하라.

2. 1. 프랑스계 위그노 가문

로타어 데메지에르의 가문은 17세기 말 프랑스에서 프로이센으로 망명한 위그노 귀족의 후손이다.[2][1] 가문의 이름은 메스 근교 마지에르에서 유래되었다. 데메지에르 가문은 20세기 초까지 베를린에서 프랑스어 학교와 위그노 교회를 다녔다.

아버지는 변호사였던 클레멘트 데메지에르이다. 클레멘트는 지역 개신교 신도 지도자였으며, 이 인연으로 앙겔라 메르켈의 아버지인 호르스트 카스너 목사와 친분이 있었다. 그는 동서독 통일 후 과거 슈타지에 협력했던 사실이 드러나기도 했다. 삼촌인 울리히 데메지에르는 서독에서 독일 연방군 대장이자 제4대 총감을 역임했다. 사촌인 토마스 데메지에르앙겔라 메르켈 전 독일 총리의 측근으로 활동했으며, 메르켈 3기 내각(2013년 12월 17일 ~ 2018년 3월 14일)에서 연방 내무부 장관을 지냈다.

로타어 데메지에르는 아내와의 사이에 세 딸을 두고 있다.

2. 2. 가족 관계

데메지에르 가문은 17세기 말 프랑스에서 프로이센으로 망명한 위그노 귀족의 후손이다. 가문의 이름은 메스 근교 마지에르에서 유래되었다.[2][1] 20세기 초까지 베를린에서 프랑스어 학교와 위그노 교회를 다녔다고 전해진다.

아버지 클레멘트 데메지에르는 변호사였으며 지역 개신교 신도의 지도자를 맡았다. 이 때문에 앙겔라 메르켈의 아버지 호르스트 카스너 목사와 친분이 있었다. 동서독 통일 후에 아버지 클레멘트 역시 과거 슈타지에 협력한 사실이 드러났다.

삼촌인 울리히 데메지에르는 서독에서 연방군 대장 및 제4대 총감을 역임했다. 사촌인 토마스 데메지에르앙겔라 메르켈독일 총리의 측근이었으며, 메르켈 3기 내각(2013년 12월 17일 ~ 2018년 3월 14일)에서 연방 내무부 장관을 지냈다.

로타어 데메지에르는 아내와의 사이에 세 딸을 두고 있다.

3. 초기 생애와 교육

로타어 데메지에르는 튀링겐주 노르트하우젠에서 태어나 베를린 김나지움 zum Grauen Kloster를 다녔다.[3] 한스 아이슬러 음악대학교에서 비올라를 전공한 후[4] 베를린 심포니 오케스트라에서 연주자로 활동했다.[5] 이후 훔볼트 대학교에서 통신 교육을 통해 법학을 공부했다.[6]

3. 1. 출생 및 성장

로타어 데메지에르는 위그노 귀족의 후손으로, 튀링겐 주 노르트하우젠에서 태어났다.[3] 그는 동베를린에 위치한 베를린 김나지움 zum Grauen Kloster를 다녔으며, 1958년 폐교되기 전 마지막 학생 중 한 명이었다.[3]

1959년부터 1965년까지 동베를린의 한스 아이슬러 음악대학교에서 비올라를 전공했다.[4] 졸업 후 비올라 연주자가 되어 베를린 콘체르트하우스 오케스트라(당시 베를린 심포니 오케스트라)에서 활동했다.[5] 그러나 왼팔 신경염으로 인해 음악가의 길을 포기하고, 1969년부터 1975년까지 훔볼트 대학교에서 통신 교육을 통해 법학을 공부했다.[6]

1975년 오케스트라를 떠나 변호사가 되었다. 변호사로서 주로 양심적 병역 거부자나 평화 운동가의 변호를 맡았으며, 만프레트 슈톨페 등과 함께 정부와 교회 조직 간의 대화에도 참여했다. 1987년에는 그레고어 기지가 회장으로 있던 베를린 변호사협회의 부회장으로 선출되었다.

3. 2. 학력

베를린 김나지움 zum Grauen Kloster에 다녔으며, 1958년 학교가 폐교되기 전 마지막 학생 중 한 명이었다.[3] 1959년부터 1965년까지 동베를린의 한스 아이슬러 음악대학교에서 비올라를 전공했다.[4] 이후 1969년부터 1975년까지 훔볼트 대학교에서 통신 교육 과정을 통해 법학을 공부했다.[6]

4. 경력

동독 기독교민주연합의 오랜 당원이었던 데메지에르는 베를린 장벽 붕괴 이후 당 개혁에 참여하여 1989년 11월 당 의장으로 선출되었다.[6] 1990년 동독 최초의 자유 선거에서 승리한 후 인민의회 의원이 되었고, 4월 12일에는 한스 모드로프의 뒤를 이어 총리로 취임하여 데메지에르 내각을 이끌었다.[7][8] 그는 서독과의 빠른 독일 재통일을 추진하며 독일에 관한 최종 해결 조약에 서명하는 등 통일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9][10] 통일 이후 헬무트 콜 정부에서 특별 담당 장관으로 임명되었으나, 과거 동독 슈타지의 정보 제공자("IM Czerni"라는 암호명 사용)였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1990년 12월 17일 사임했다.[11][12]

4. 1. 음악가 및 변호사 활동

1959년부터 1965년까지 베를린의 한스 아이슬러 음악대학교에서 비올라를 공부하고 졸업 후, 베를린 교향악단(현재의 베를린 콘체르트하우스 관현악단)에 비올라 연주자로 입단했다. 그러나 왼팔 신경염으로 인해 음악가의 길을 단념했다.

1969년부터 베를린 대학교 법학부의 통신 교육 과정을 수강했으며, 1975년에는 악단을 퇴단하고 변호사가 되었다. 변호사로서 주로 양심적 병역 거부자나 평화 운동가의 변호를 담당했으며, 만프레트 슈톨페 등과 함께 정부와 교회 조직의 대화에 종사했다.

1987년, 그레고어 기지 회장 아래에서 베를린 변호사협회 부회장에 취임했다. 1996년부터 베를린에서 변호사 사무소를 개업하여, 주로 동서 독일 통일에 관한 안건을 담당하고 있다.

4. 2. 정치 경력

오랫동안 동독의 위성정당이었던 기독교민주연합(CDU) 당원으로 활동했다. 1989년 베를린 장벽 붕괴 이후, 당내 친공산주의 지도부 축출에 기여하며 당 개혁을 이끌었고, 같은 해 11월 당 의장으로 선출되었다.[6] 이후 한스 모드로프 과도 내각에 교회 문제 담당 장관 겸 부총리로 합류했다.

1990년 3월, 동독 최초이자 마지막 자유 선거였던 인민의회 선거에서 그가 이끈 기독교민주연합 중심의 보수 연합은 서독과의 조속한 독일 재통일 및 독일 마르크 도입을 공약으로 내세워 승리했으며, 데메지에르는 인민의회 의원으로 선출되었다. 같은 해 4월 12일, 그는 한스 모드로프의 뒤를 이어 동독의 마지막 총리(각료회의 의장)로 취임했으며, 외무부 장관직도 겸임하며 데메지에르 내각을 이끌었다.[7][8] 총리로서 그는 동독 시민들의 통일 열망을 바탕으로 서독과의 신속한 통일을 추진했고, 독일 재통일의 법적 토대가 된 독일에 관한 최종 해결 조약(2+4 조약)에 서명했다.[9][10]

1990년 10월 3일 독일 재통일 후, 헬무트 콜 총리가 이끄는 통일 독일 정부에서 특별 담당 장관(무임소 특명 국무 장관)으로 임명되었고[13], 서독기독교민주연합(CDU)에 합류하여 부당수가 되었다. 또한 동독 인민의회 의원 자격으로 독일 연방 의회 의원이 되었다. 그러나 얼마 지나지 않아 과거 동독 시절 슈타지(국가보안부)의 비공식 협력자(암호명 "IM Czerni")였다는 사실이 폭로되면서 정치적 파문이 일었다.[11][12] 결국 그는 1990년 12월 17일 장관직에서 사임했으며[11][12], 이듬해인 1991년에는 CDU 부당수직과 연방의회 의원직에서도 차례로 물러나며 정계를 은퇴했다.

정계 은퇴 후 1996년부터 베를린에서 변호사 사무소를 다시 열고 주로 동서독 통일 관련 문제를 다루고 있다.

4. 2. 1. 동독 기독교민주연합 (CDU)

1956년, 동독의 위성 정당이었던 동독 기독교민주연합(CDU)에 입당하며 오랜 당원 생활을 시작했다.[6] 동유럽 혁명의 물결 속에서 1989년 베를린 장벽 붕괴 이후, 데메지에르는 공산주의 정권에 협력하던 당의 기존 지도부를 교체하는 데 기여했다. 같은 해 11월, 그는 당 의장으로 선출되었고,[6] 11월 18일에는 한스 모드로프 과도 내각에 교회 문제 담당 장관 겸 부수상으로 합류했다.

1990년 3월, 동독 최초이자 마지막으로 치러진 자유 총선거에서 데메지에르가 이끄는 기독교민주연합과 보수 연합 세력은 승리를 거두었고, 데메지에르는 인민의회 의원으로 선출되었다. 이 선거 승리에는 서독과의 빠른 독일 재통일과 독일 마르크 도입을 주장한 공약이 동독 주민들의 지지를 얻었고, 당시 서독헬무트 콜 총리의 지원도 영향을 미쳤다. 선거 결과에 따라 4월 12일, 그는 한스 모드로프의 뒤를 이어 동독의 마지막 총리(각료회의 의장)로 취임했으며 외무부 장관직도 겸임하며 데메지에르 내각을 이끌었다.[7][8] 총리로서 그는 서독과의 신속한 통일을 추진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연합국의 독일 내 권한을 종식시키고 통일의 길을 연 독일에 관한 최종 해결 조약(2+4 조약)에 서명했다.[9][10]

1990년 10월 3일 통일 이후, 데메지에르는 서독기독교민주연합(CDU)에 합류하여 부당수가 되었고, 헬무트 콜 총리 정부에서 특별 담당 장관(무임소 특명 국무 장관)으로 임명되었다.[13] 그러나 얼마 지나지 않아 동독 시절 슈타지(국가보안부)의 정보 제공자("IM Czerni"라는 암호명 사용)로 활동했다는 의혹이 제기되었다.[11][12] 이 과거 행적이 드러나면서 그는 1990년 12월 17일 장관직을 사임했고, 이듬해인 1991년 9월에는 CDU 부당수직, 10월에는 연방의회 의원직에서도 물러나며 정계를 떠났다.

4. 2. 2. 동독 정부

데메지에르는 오랫동안 동독 기독교민주연합 당원으로 활동했으며, 베를린 장벽 붕괴 이후 당내 친공산주의 성향의 지도부를 축출하는 데 기여했다. 그는 1989년 11월 당 의장으로 선출되었고[6], 같은 해 11월 18일에는 한스 모드로프 내각에 교회 문제 담당 장관 겸 각료 평의회 부의장(부총리)으로 입각했다.

이듬해인 1990년 3월, 동독 최초이자 유일한 자유 선거가 실시되었다. 당시 정치적으로 거의 무명이었던 데메지에르였지만, 그가 이끈 기독교민주연합과 동맹 정당들은 조속한 독일 재통일과 독일 마르크 도입을 공약으로 내세워 유권자의 지지를 얻었고, 서독헬무트 콜 총리의 지지를 등에 업고 선거에서 승리했다. 데메지에르 자신도 이 선거에서 인민의회 의원으로 선출되었다.

선거 한 달 뒤인 1990년 4월 12일, 데메지에르는 한스 모드로프의 뒤를 이어 동독의 총리(각료회의 의장)로 취임했으며, 외무부 장관직도 겸임했다.[7] 그는 독일 재통일 직전인 10월 2일까지 총리직을 수행하며 데메지에르 내각을 이끌었다.[8] 총리로서 데메지에르는 동독 시민의 여론을 바탕으로 서독과의 신속한 통일을 추진했으며, 독일 재통일의 법적 기반이 된 독일에 관한 최종 해결 조약(2+4 조약)에 서명했다.[9][10] 이 조약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베를린과 독일에 대해 연합국(미국, 영국, 프랑스, 소련)이 가졌던 권리와 책임을 종결시키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4개 연합국과 동서독 양측이 서명했다. 조약에 따라 동독은 1990년 10월 3일 소멸하고 그 영토는 독일 연방 공화국으로 편입되었다.

4. 2. 3. 독일 재통일

데메지에르는 1990년 3월 동독 최초의 자유 선거에서 인민의회 의원으로 선출되었고, 4월 12일 한스 모드로프의 뒤를 이어 총리가 되었다.[7][8] 그는 서독과의 빠른 독일 재통일을 공약으로 내걸었으며, 이는 당시 동독 시민들의 열망을 반영한 것이었다. 데메지에르 내각은 동독 시민의 여론을 바탕으로 서독과의 조속한 통일을 추진했다.

이 과정에서 데메지에르는 독일에 관한 최종 해결 조약에 서명했다.[9][10] 이 조약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연합국이 베를린과 독일에 대해 가졌던 권리와 책임을 공식적으로 종료시키는 중요한 의미를 지녔다. 조약은 4개 연합국과 동서독 양측이 서명했으며, 독일 재통일 이후 비준될 예정이었다. 이 조약 체결은 독일이 완전한 주권을 회복하는 결정적인 단계였다.

마침내 1990년 10월 3일, 독일 재통일이 이루어졌다. 이 조약에 따라 동독은 소멸하고 그 영토는 독일 연방 공화국에 편입되었다. 데메지에르는 통일 독일의 헬무트 콜 총리 정부에서 특별 담당 장관으로 임명되어 통일 과정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는 듯했다.[13]

그러나 통일 직후, 데메지에르가 과거 동독의 비밀경찰인 슈타지를 위해 "IM Czerni"라는 암호명으로 정보원 활동을 했다는 의혹이 제기되었다.[11][12] 이 사실이 알려지면서 정치적 파장이 커졌고, 결국 그는 1990년 12월 17일 장관직에서 사임했다. 이듬해인 1991년에는 CDU 부당수직과 연방 의원직에서도 물러나며 사실상 정계를 은퇴했다.

4. 2. 4. 통일 독일

독일 재통일이 이루어진 1990년 10월 3일 이후, 데메지에르는 헬무트 콜 총리가 이끄는 CDU 정부에서 무임소 특명 국무 장관으로 임명되었다.[13] 또한 동독 인민 의회 의원 자격으로 자동적으로 독일 연방 의회 의원이 되었다. 그는 CDU에 입당하여 부당수로 선출되기도 했다.

그러나 얼마 지나지 않아, 데메지에르가 과거 동독 슈타지(국가보안성)를 위해 "IM Czerni"라는 암호명으로 활동한 협력자였다는 사실이 드러났다.[11][12] 이 문제로 그는 1990년 12월 17일 장관직에서 사임했다.[11][12] 이듬해인 1991년 9월에는 CDU 부당수직을, 10월에는 연방 의원직도 차례로 사임하며 정계에서 은퇴했다.

정계 은퇴 후, 1996년부터는 베를린에서 변호사 사무소를 개업하여 주로 동서 독일 통일 관련 문제를 다루고 있다.

4. 3. 정계 은퇴 이후

1996년부터 베를린에서 변호사 사무소를 개업하여, 주로 동서 독일 재통일에 관한 안건을 담당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Lothar de Maizière, Geschichte der CDU, Konrad-Adenauer-Stiftung http://www.kas.de/wf[...] kas.de 2017-02-02
[2] 뉴스 Merkel is Quick to Fill Open Cabinet Position https://www.nytimes.[...] 2011-03-02
[3] 웹사이트 Evangelisches Gymnasium zum Grauen Kloster http://www.graues-kl[...] 2017-02-07
[4] 웹사이트 Who is Lothar de Maiziere? https://www.koreatim[...] 2011-11-22
[5] 웹사이트 Lothar de Mazière http://bakuforum2016[...] 2017-02-07
[6]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Contemporary Germany Rowman & Littlefield 2016-10-18
[7] 서적 The Imperfect Union: Constitutional Structures of German Unificati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8] 웹사이트 Address given by Lothar de Maizière on the eve of German unity (Berlin, 2 October 1990) http://www.cvce.eu/e[...] cvce.eu 2012-10-25
[9] 웹사이트 Treaty on the Final Settlement with Respect to Germany - Making the History of 1989 https://chnm.gmu.edu[...] 2017-02-07
[10] 웹사이트 Resources for The Treaty on the Final Settlement with respect to Germany - Subject files - CVCE Website http://www.cvce.eu/e[...] 2017-02-07
[11] 뉴스 ZEIT ONLINE | Lesen Sie zeit.de mit Werbung oder im PUR-Abo. Sie haben die Wahl https://www.zeit.de/[...] 1992-01-24
[12] 웹사이트 Biography: Lothar de Maizière - Biographies - Chronik der Wende https://www.chronikd[...] 2017-02-07
[13] 웹사이트 Address given by Lothar de Maizière on the eve of German unity http://www.cvce.eu/e[...] cvce.eu 1990-10-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